안녕하세요! 10 년 전 국민게임이라고도 불리우던 “크레이지아케이드” 게임을 모두 기억하시나요? ^^ 2001 년 처음 발매되었을 때 거의 2000만명이 넘는 사용자 층을 보유했던 Nexon 사 (社) 에서 제작된 게임입니다. 친구들과 했던 추억을 떠올리며 저도 직장에서 쌓이는 스트레스 해소 겸 크레이지아케이드의 매력에 빠져, 요즈음엔 퇴근만 하면 크레이지 아케이드를 하게 되는 “크아 삼매경” 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답니다! ㅠㅠ;;
오늘은 그 동안의 실질적인 경험들을 토대로 블로그 포스팅을 통해 초보자 여러분이 가장 어렵게 느껴지는 협공모드의 지존팩토리 I (중공) 맵에 대한 공략법과 함께 게임 규칙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볼까 합니다.
그렇다면 중공의 무엇인지부터 알아볼까요?
하수구를 통한 중앙 공격, 줄임말로 중공이라고 불립니다.
지존팩토리 (중공) 맵을 하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한 판당 네 명의 쿤을 기준으로 2 분 14초 이후에는 1,200 루찌의 수입이 들어오고, 루찌 2배 아이템을 착용하고 있을 경우에는 2,400 루찌의 수입이 기본적으로 들어옵니다. 중앙의 500 원짜리 보따리를 먹었을 때에는 3,400 루찌의 수입이 들어오고, 루찌 펫 혹은 듀얼 펫을 착용했을 때에는 판 당 약 6,000 루찌 이상의 수입이 들어오므로, 펫 없이 중공을 해서 루찌를 벌겠다 하시는 분들은 권해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들인 시간에 비해 들어오는 루찌가 매우 적거든요. ㅠㅠ
지존 팩토리 (중공) 맵 규칙
- 1 / 2 / 3 / 4 턴이 돌아가며 순서대로 공격을 하며, 2 턴 차례에 2 턴 분이 안쪽이 아닌 바깥 쪽에 있을 경우 다른 분이 공격합니다.
- 중앙에 있는 상자에서 나오는 500 루찌 돈 보따리는 공격 턴 사용자를 위한 아이템이므로 눈치 껏 드시기 바랍니다.
- 자신의 순서가 아닐 경우, 그 때에는 쉽니다.
- 게임 중 “스토커” 캐릭터가 등장할 경우 바깥 쪽에 위치한 다른 분들도 아이템을 나누어 먹을 수 있도록 블럭 (장애물) 들을 제거 해 주어야 합니다.
맵 분석
스크린 샷을 첨부하여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보다 빠른 이해를 위해 맵에 있는 상자들은 모두 제거했습니다 ^^;;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중공이란, 하수구를 통한 공격입니다. 위의 사진은 일명 “세로 1자” 놓기… 움짤이 힘들어 스크린 샷으로 대체합니다. ^^ 하수구가 존재하지 않는 곳에 물풍선을 하나 놓으시고 물풍선이 세 번 퉁퉁 튕길 때 타이밍에 맞추어서 하수구까지 물풍선을 연결하여 놓으신 후 안전한 곳으로 이동하시는 것이 공략 방법입니다.
* 타이밍이 조금만 느려도 자폭 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시구요~
아래 첨부된 스크린샷 두 장은 ㄱ 혹은 ㄴ 자로 놓는 방법인데… ㄱ자의 반대로 물풍선을 놓아버렸네요 ^^ ㅎㅎ … 모양과는 상관 없이 타이밍과 함께 물풍선을 통한 물줄기 연결과, 마지막 물풍선의 위치만 지켜주신다면… 큰 지장은 없습니다. ㅎㅎ
마지막으로, 물줄기를 하나 드셨을 때 유용한 공격 법입니다. 물줄기가 길어졌을 때 하수구 옆이 아닌 하수구에서 한칸 떨어진 (하수구가 없는) 곳에서 물풍선 하나를 놓고 타이밍에 맞춰 하수구에 하나를 놓으시면 되는데요.
하수구에 물풍선을 놓고 센서를 켜 놓은 모습이에요. 하수구의 X 자 모양 위주로 물줄기를 피하면 됩니다만… 쿤들의 물줄기가 길어지는 상황에는 X 자 모양의 표시에 있더라도 물줄기의 영향을 받게 되므로, 스크린 샷으로는 참고만 하시고 각각의 상황에 맞게 이동하셔야 합니다. 그렇다면, 이제 플레이 영상을 보시면서 이해해볼까요?
여담으로, 물풍선이 터지는 타이밍이 애매하신 분들께서는 아이스 퍼플 물풍선이나 데스 스피어 물풍선을 사용하시면 터지는 타이밍을 쉽게 아실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당연히 센서를 사용하여 연습하시는 편이 좋구요.
그럼 여러분들께 많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